WEBZINE
얼마 전 필리핀 타가이타이에서 열린 학술회의에 참여한 적이 있었다. 마닐라에서 차로 2시간 정도 떨어진, 화산 호수가 내려다 보이는 타가이타이는 고산 지대로 날씨가 선선하고, 모기도 없어 마닐라 사람들이 휴양지로 애용하는 곳이다. 필자가 유네스코한국위원회에 신입직원으로 들어가서 1984년 …
Vol.18
시도평생교육진흥원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의 평생교육에 대한 글을 다소 딱딱한 법 이야기로부터 시작해보려고 한다. 왜냐하면 시도평생교육진흥원은 법에 근거해서 생명을 얻은 기관이므로.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받을 권리가 있고, 이를 위해 국가는 평생교육을 진흥하…
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노력은 2016년 「평생교육법」 개정을 통해서 가시화되었다. 일반 평생교육의 보편적이고 거시적인 체계에 장애인 평생교육을 포함하면서 분리가 아닌 통합기반의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 환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법적 환경이 정비된 것이다. 이 변화는 ‘제5차 특수교육…
Vol.17
코로나19(COVID-19)의 출구가 보이지 않는다. 자연 생태계의 최고의 자리를 점하고 있다는 인간이 감당할 수 없는 일은 없다는 착시적 진리가 무참히 깨치고 있기 때문이다. 경제 정책에서 흔히 쓰이는 “출구전략”이라는 것이 있는데, 베트남 전쟁에서 사용이 시작되어 손실이 크거나 심각한 상…
얼마 전 군 단위를 끝으로 1주기 평생학습도시 재지정평가가 모두 완료되었다. 평생학습도시 재지정평가는 2020년 코로나19와 함께 시작되어 2022년 봄 코로나 19와 함께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2주기 평가가 시작되는 2023년부터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여 평생학습도시…
Vol.16
바야흐로 벚꽃의 계절이다. 벚꽃 군락지는 공원이나 산, 도로 등을 가리지 않고 상춘객들로 가득하다. 인터넷을 검색하면 벚꽃 피거나 지는 시기를 지역별로 상세하고 친절하게 안내하는 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짧은 기간이겠지만 벚꽃이 관광 상품화되어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된다면 다행일 것이…
경북도립대학교 최 정 숙 교수 평생교육!“평생교육은 요람에서 무덤까지 전 국민이 참여하는 종합교육”이라고 한국대학경쟁력연구원 정태화 연구원은 역설하고 있다. 이는 평생교육의 장은 특정 연령보다는 전 연령에 폭넓은 참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미라 할 수 있겠다. 즉 평생교육은 …
Vol.15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평생교육바우처실 서영아 실장 기술의 발전은 우리의 삶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신기술혁신은 4차 산업혁명을 가져왔고, 의료기술의 발전은 인간에게 100세 시대를 열게 하였다. 빠른 변화는 우리에게 학령기 교육 이후 변화하는 삶에 적응하고 살아가기 위…
순천향대학교 평생교육학부 김현수 교수 평생학습도시는 평생학습을 통해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 2001년부터 교육부에서 조성사업을 시작하면서 출발하여 2021년 7월 현재 전국에 180개 시군구가 평생학습도시로 지정되었다. 이는 전국 226개 시군구 가운데 79.6%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광역자…
Vol.14